Network 5

[네트워크] 파이썬 소켓 프로그래밍

소켓 프로그래밍 소켓(Socket)이란 무엇인가 하나의 프로세스로부터 다른 프로세스로 보내는 메시지는 네트워크를 통해 움직이며, 프로세스는 소켓(socket)을 통해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보내고 받는다. 소켓은 호스트의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트랜스포트 계층 간의 인터페이스로,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사이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라고도 한다. 즉, 소켓이란, TCP나 UDP와 같은 트랜스포트 계층을 이용하는 API를 말한다. 소켓은 네트워크에서 프로세스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프로세스로부터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출입구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일반적인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2개의 서로 다른 종단 시스템에 존재하는 클라이언..

Network 2023.07.24

[네트워크] 캡슐화와 역캡슐화

캡슐화와 역캡슐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TCP/IP 5계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TCP/IP 5계층에 대한 설명은 해당 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 TCP/IP 5계층 [네트워크] TCP/IP 5계층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는 현재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그룹(여러 계층들에서 조직된 프로토콜 세트)이다. 즉, 상호 작용하는 모듈들로 이루어진 계층적 chinkl.tistory.com ✏️ 캡슐화 각 계층의 상위 계층으로부터의 패킷을 페이로드라고 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캡슐화란,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측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온 패킷(페이로드)에 자신의 헤더 정보를 추..

Network 2023.01.16

[네트워크] TCP/IP 5계층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는 현재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그룹(여러 계층들에서 조직된 프로토콜 세트)이다. 즉, 상호 작용하는 모듈들로 이루어진 계층적인 프로토콜을 말한다. 계층적이라는 말은 각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한 개 이상의 하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지원을 받는다는 말을 의미한다. ✏️ TCP/IP 5계층 모델 원래 TCP/IP 프로토콜 그룹은 4개의 소프트웨어 계층으로 정의되었으나, 현재 TCP/IP는 5계층 모델로 간주된다. 아래의 그림은 TCP/IP 5계층 모델의 모습이다. TCP/IP의 각 계층들 1. Physical (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프레임의 각 비트를 다음 링크..

Network 2023.01.16

[네트워크] ping - 네트워크 관련 Linux 명령어

Ping 외부 호스트 서버가 네트워크상으로 접근이 가능한지 확인해 보는 명령어 IC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호스트에 신호 전송, 신호를 받은 호스트는 다시 응답을 주면서 서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Ping 명령어 사용 -c : ping을 보낼 횟수, 생략 시 무제한으로 실행 -i : 보내는 간격, 생략 시 1초 단위로 설정 ping의 기본 명령어 형식은 다음과 같다. ping -c [요청수] -i[초단위 전송간격] [도메인명 혹은 IP 주소] 8.8.8.8로 ping을 3회 실행 ping -c 3 8.8.8.8 8.8.8.8로 ping을 10초 단위로 테스트 ping -i 10 8.8.8.8 www.naver.com으로 ping을 실행시켜 IP 확인 ping www.naver...

Network 2023.01.10

[네트워크] ifstat - 네트워크 관련 Linux 명령어

ifstat 리눅스에서 간단한 네트워크 상황 표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송수신하는 패킷의 양을 간단하게 표시 송신 대역폭과 수신 대역폭을 KB/s 단위로 출력 복잡한 정보 없이 송수신 대역폭 정도만 확인하고 싶을 때 유용 ifstat 명령어 사용 ifstat의 기본 명령어 형식은 다음과 같다. ifstat [Options] [Interface] Options -a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전체를 보고 싶을 경우 -i : 특정 인터페이스만 보고 싶을 경우 -S : 현재 대역폭을 한 줄에 계속 겹쳐서 표기 갱신되는 시간 간격(초 단위)과 갱신 회수 지정 : 옵션의 맨 마지막에 숫자로 지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전체를 보고 싶은 경우 ifstat -a 특정 인터페이스(eno1)만 보고 싶은 경우 ifstat -..

Network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