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Baekjoon 2

[백준] 15650 N과 M(2) - Python

백트래킹이란? 문제 설명에 들어가기 전, 해당 문제는 백트래킹을 사용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백트래킹의 개념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백트래킹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모든 경우의 수를 살펴가며 Decision Space를 만들고, 가능성이 없는 것들은 탐색을 중지하고 뒤로 돌아가는 방법이다. 간단하게 예시를 통해 백트래킹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휴대폰을 이용해 전화를 걸 때, 전화기 다이얼을 사용한다. 아래의 다이얼을 살펴보면, 숫자 위에 알파벳들이 나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알파벳을 이용해 숫자 '25'를 나타내고 싶다고 가정해 보자. '25'를 나타낼 수 있는 모든 알파벳 조합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AJ, AK, AL], [BJ, BK, BL], [CJ..

Algorithm/Baekjoon 2024.03.31

[백준] 2217 로프 - Python

작년 11월 초부터 코테 스터디를 들어가게 되면서 파이썬으로 코테 문제를 꾸준히 문제를 풀기 시작했다. 실력이 이전보다 늘긴 했지만, 여태까지는 문제를 풀면서 내가 생각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지 않고 단순히 문제만 푸는 것에 급급했다. 어느 순간부터 더 이상 발전이 없는 느낌을 받았고, 공부 방식을 바꿔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내가 이 문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어떻게 접근했는지 등의 과정을 글로 정리하면 나중에 비슷한 문제를 풀게 됐을 때 내가 어떠한 부분이 부족했는지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스스로 해결 과정을 정리해 나감으로써 한 번 더 내용을 상기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이 글을 기점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이 블로그 작성을 시작하겠다. 문제 설명 & 풀이 https://www.ac..

Algorithm/Baekjoon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