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Infra] 실무에 필요한 인프라 용어 정리

아윤_ 2024. 9. 19. 11:28

이번에 좋은 기회로 멘토님과 함께

하루마다 10분 분량으로 기술에 대해 서로 정리하고 설명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

이에 대한 첫 번째 글로 실무에 필요한 인프라 용어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본다.


 

장비

 

데이터 센터

  • 데이터 센터는 각종 서버들이 모이는 공간이다

 

 

랙 (RACK)

  • 서버들이 꽂히는 공간으로 각종 시스템 장비들이 들어가서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상면

  • 장비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다. 랙보다 더 큰 개념으로 사용된다.

 

 

XaaS, 온프레미스, 온디맨드

 

XaaS (X as a Service)

  • XaaS란 서비스형 시스템을 의미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시스템 이용 시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게 제공되는 각종 IT 자원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aaS는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서버 스토리지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VM을 제공한다.
  • 아마존 EC2가 대표적 예이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 platform :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것, 개발 환경을 제공
  • PaaS는 인터넷을 통해 이용 가능한 개발 관련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구글 colab, 구글 '앱 엔진'이 대표적 예이다.

 

SaaS (Sofrware as a Service)

  • 온라인으로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 대표적으로 구글 드라이브, 슬랙 등이 있다.
  • 온디맨드 소프트웨어이다.

 

온프레미스

  • 자체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여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식 (전통적)
  • 집을 짓는다고 할 때 집을 짓기 위한 자재 구매부터 도면 그리는 작업, 시공, 건축, 인테리어까지 모든 과정을 사람이 혼자서 다 처리하는 방법

 

온디맨드

  • 수요가 필요한 즉시 바로 서비스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
  • 집을 짓는다고 할 때 집을 만드는 과정에서 자재나 도구 혹은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에 따라 제공받는 방법
  • 온프레미스 방식과의 가장 큰 차이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IT 자원을 누가 관리하느냐이다. 온디맨드 방식의 경우 서비스를 공급하는 제공자는 IT 자원을 사용할 뿐, 대부분의 자원 관리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받는다.

 

 

PM, VM, Container, Docker

 

PM

  • Physical Machine
  • 노트북, 데스크톱 등등 물리적 기계

 

VM

  • Virtual Machine
  • 가상 머신은 컴퓨팅 환경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한 것이다. 즉, 컴퓨터 시스템을 에뮬레이션(가상현실화)하는 소프트웨어다.
  • 가상 머신상에서 운영 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Container

  • OS 레벨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격리함으로써 마치 다른 OS에서 동작하는 것과 같은 가상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cgroups

  • 프로세스들의 자원 사용(CPU, 메모리, 디스크 입출력, ... )을 제한하고 격리시키는 리눅스 커널 기능

 

Docker

  • 리눅스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프로세스 격리 기술들을 사용해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

 

 

VPN, VDI

 

VPN (Virtual Private Network)

  • VPN은 공중 네트워크를 통해 한 회사나 몇몇 단체가 내용을 바깥사람에게 드러내지 않고 통신할 목적으로 쓰이는 사설 통신망이다.
  • 사용자가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IP 주소가 아닌 VPN 업체에서 제공하는 IP 주소를 이용해 접속한 후 VPN 업체가 다운로드한 자료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다.
  • 터널링 기술을 사용하여 패킷을 캡슐화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암호화/인증방식을 협상한다.

 

단점

  • 속도가 느리다.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 가상 머신을 이용해 가상 데스크톱을 인프라로 제공하고 관리하는 것
  • 기업의 네트워크로 원격 접속하기 위해 구성하는 방식이다.
  • 서버에 가상 머신을 생성하는 하이퍼바이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사내망에 접속할 수 있는 여러 가상 머신을 띄우고 사용자들은 인증을 받아 접속하면 가상 머신 데스크톱으로 연결시켜 준다.

 

차이점

 

VPN

  • 재택 근무자와 회사 내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네트워크를 만들어 주는 기술이다.

 

VDI

  • VDI는 VPN으로 우선 사내에 접속한 후 중요 데이터 또는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추가적인 경로를 제공한다.